배포/aws

AWS 기초(0) - 프리 티어 확인 방법

nsean 2024. 3. 22. 20:35

웹개발 이전에 대략 4년 전? 풀스택 쪽 클론 코딩을 공부하겠다고 aws 계정을 생성하고 간단히 배포를 해본 적이 있다.

 

이후 이 시점에 들어서 배포에 대해 연습을 해보다가 프리 티어에 대해 말 그대로 제한이 걸린 대신 무료로 사용할 수 있다는 옵션이라는 생각만 하고 배포를 하다가 청구서에 금액이 찍히는 것을 보고 당황을 하게 된 적이 있다.

 

조금만 더 찾아봤으면 프리티어에 대한 이해를 제대로 하고 청구서의 금액을 낼 일은 없었을텐데...라고 생각하면서, 공부 비용이라고 생각하고 프리티어 및, 2월 1일에 적용됐던 ipv4 퍼블릭 주소 비용 청구에 대해 더 알아보기로 하였다.

 

먼저 프리티어는 일종의, free trial 이다. 정확히는 무료로 aws의 일부 서비스들을 사용할 수 있는 공짜 1년 구독권이라고 생각하면 좋을 것 같다.

이는 계정 가입을 시작한 시점부터 카운팅 되며, 1년이 지나면 바로 해지가 되는 개념이다.

물론 해지가 되어도 사용 가능한 기능들이 있지만, 웹개발 시에 배포를 하면서 사용하는 주요 기능은

12개월간 무료인 이 세 기능일 것이기에, 공부하면서 배포한 프로젝트를 만들 때 발생한 예상치 못한 지출을 방지하기 위해선 이 12개월짜리 프리 티어가 사용 가능한지를 항상 염두해야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다행히도 12개월짜리 프리티어가 만료됐다고 해도 현시점에서 새 계정을 생성해 주면 12개월짜리 프리티어를 다시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프리티어의 기간을 정확히 명시한 곳이 없어서, 여러가지 방법으로 기한이나, 현재 사용이 가능한지 알아야 한다.

현재 사용 가능 여부는 EC2 페이지에 들어가면 바로 파악할 수 있다.

Free tier를 사용할 수 없는 계정의 EC2 대시보드
프리 티어를 사용할 수 있는 계정, 우상단에 EC2 프리 티어가 명시되어 있다.

이렇게 구분이 가능하다.

사용 가능 기한은

청구서에 들어가서, 결제 기간을 클릭하면 나오는 가장 빠른 달이 프리 티어의 시작 기간이다.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1. 프리 티어는 기본적으로 특정 AWS 서비스에 무료로 액세스할 수 있는 1년 구독이다.
  2. 무료 사용 기간은 AWS 계정을 생성한 시점부터 시작하여 12개월 동안 지속된다.
  3. 12개월 기간이 끝나면 이전에 무료였던 서비스에 대한 요금이 부과될 수 있다.
  4. 일부 서비스는 프리 티어가 만료된 후에도 계속 무료로 제공될 수 있지만, 웹개발에 중요한 기능은 만료된다.
  5. 프리 티어 기간이 언제 종료되는지 명확하게 표시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수동으로 추적하는 것이 중요하다.
    1. Ec2 대시보드에서 확인 가능하다
  6. 청구 내역을 확인하고 표시된 가장 빠른 달을 식별하여 프리 티어의 시작 기간을 결정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