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 공부/java
java 입문(2) 연산자
nsean
2024. 1. 7. 11:50
수업에선 실무에서 주로 사용되는 연산자들에 대해서만 교육한다고 한다.
연산자의 종류는 다음과 같이 있다.
여기서 주의해야 할 사항은 바로 0으로 나누는 경우인데, 실제로 실행해 볼 경우 다음과 같은 예외(에러)가 발생한다.
Exception in thread "main" java.lang.ArithmeticException: / by zero
또한 자바는 문자열에도 +연산자를 사용 가능한데
String result1 = "hello " + "world";
의 경우 hello world가 출력된다.
각 연산자들간에는 우선순위가 있으며, 이는 일반적인 수학계산에서의 우선순위와 동일하다.
증감연산자
++와 --로 표현되는 연산자이며, 각각 변수의 값을 1씩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킨다.
a = a+1;
++a;
a++;
여기에서 ++a는 전위 증감 연산자, a++을 후위 증감 연산자라고 하며 전위 증감 연산자의 경우 증감 연산이 먼저 수행된 후 나머지 연산이 수행된다.
b = ++a;
a = a+1;
b = a;
b = a++;
b = a;
a = a+1;
비교연산자
비교 연산자는 두 값을 비교하는 데 사용되며, 참 또는 거짓을 반환한다.
하지만 문자열을 비교할 때에는 ==이 아닌. equals() 메서드를 사용해야 한다.
package operator;
public class Comp1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a = 2;
int b = 3;
System.out.println(a == b); // false, a와 b는 같지 않다
System.out.println(a != b); // true, a와 b는 다르다
System.out.println(a > b); // false, a는 b보다 크지 않다
System.out.println(a < b); // true, a는 b보다 작다
System.out.println(a >= b); // false, a는 b보다 크거나 같지 않다
System.out.println(a <= b); // true, a는 b보다 작거나 같다
//결과를 boolean 변수에 담기
boolean result = a == b; //a == b: false
System.out.println(result); //false
}
}
논리연산자
boolean 형인 true, false를 비교하는 데 사용되며, &&, ||,! 가 있다. (각각 and, or, not)
대입연산자
말 그대로 값을 대입하는 연산자이다. a = 1 할 때 = 가 해당된다.
복합 대입연산자는 산술 연산자와 대입 연산자를 한 번에 축약한 것을 의미하며
`+=` , `-=` , `*=` , `/=` , `%=`가 있다.
주요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자주 사용하는 연산자:
- 산술 연산자: `+` , `-` , `*` , `/` , `%` (나머지)
- 증가 및 감소 연산자: `++` , `--`
- 비교 연산자: `==` , `!=` , `>` , `<` , `>=` , `<=`
- 논리 연산자: `&&` (AND), `||` (OR), `!` (NOT)
- 대입 연산자: `=` , `+=` , `-=` , `*=` , `/=` , `%=`
비트 연산자는 실무에서 거의 사용할 일이 없으며, 필요할 때 찾아보라고 하였다.
- 비트 연산자: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