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page 생성
resources/static/ 에 index.html파일을 생성하고,
doc를 입력하면 다음과 같이 html 자동완성기능이 제공된다.
<html>
<head>
<meta charset="UTF-8">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user-scalable=no, initial-scale=1.0, maximum-scale=1.0, minimum-scale=1.0">
<meta http-equiv="X-UA-Compatible" content="ie=edge">
<title>Document</title>
</head>
<body>
</body>
</html>
HelloSpringApplication을 실행 후 http://localhost:8080/로 연결하면, 흰색의 빈 website가 반겨주게 된다.
이렇게 따로 java 파일에 입력한 내용 없이 index.html만 생성하여도 기본 시작페이지로 설정해 주는 것에는 spring boot가 기본적으로 지원해 주는 기능들 중 하나이다.
위와 같이 스프링 자체에서 제공해 주는 기능이 어마어마하게 많은데, 직접 다 외워서 사용하기에는 힘들기에, 다음과 같이 공식문서에 들어가서 찾아보면 된다.
Controller 생성
Controller는 애플리케이션의 비즈니스 로직을 처리하고 사용자 요청에 대한 적절한 응답을 생성하는 부분이다. 흔히 MVC, MVC라고 하는데, Model, View, Controller를 통칭해서 부르는 약자이다.
Controller는 보통 M과 V 사이에서 중개자 역할을 하며, 클라이언트에서 요청을 받은 데이터의 처리를 담당한다.
@Controller
public class HelloController {
@GetMapping("hello")
public String hello(Model model) {
model.addAttribute("data", "hello!!");
return "hello";
}
}
위 코드가 하는 일은 HelloController 클래스를 정의하고, hello라는 경로에 대한 GET 요청을 처리한다. 이후 hello 메서드에서 Model 객체에 data라는 속성과 "hello!!"라는 값을 추가한 후 반환한다.
여기에서 return "name"는 resources/templates에 있는 name파일을 탐색해서 렌더링 해준다.
이 기능을 viewResolver라고 한다.
`resources:templates/` +{ViewName}+ `.html
윈도우에서 직접 빌드하고 실행하기
우선 intellij에서 컴파일 중인 파일을 종료하고(중요)
- gradlew.bat 파일이 있는 폴더까지 이동(cd 파일경로)
- gradlew.bat build
- cd build/libs
- java -jar hello-spring-0.0.1-SNAPSHOT.jar
를 입력해 주면 실행된다.
doc/doc4의 차이가 뭘까?
doc은 jdk문서의 최신 버전, 프로젝트가 사용하는 특정 jdk버전
spring boot 공식문서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WebSocket - 실시간 양방향 소통 (0) | 2024.03.19 |
---|---|
[Spring] 인프런 - 스프링 입문 스프링부트(3) (1) | 2024.02.28 |
[Spring] Spring Boot DevTools - 자동 컴파일, 업데이트 (1) | 2024.02.12 |
[Spring] 인프런 - 스프링 입문 스프링부트(1-2) (0) | 2024.02.11 |
[Spring] 인프런 - 스프링 입문 스프링부트(1-1) (1) | 2024.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