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초 공부/java

java 입문(3) 조건문

조건문은 특정 조건에 따라서 다른 코드를 실행하기 위해 만들어진 기능이다.

조건문엔 if문, switch문이 있다.

if` 문은 특정 조건이 참인지 확인하고, 그 조건이 참( `true` ) 일 경우 특정 코드 블록을 실행한다.

if (x < 10) {"10보다 작다."}

이런 형식으로 작성되며, 이후 else문을 통하여 if문에서 만족되는 조건이 없는 경우에 구현할 코드를 작성할 수  있다.

else{"10보다 크다"}

else if 문은 앞선 if 문의 조건이 거짓일 때 다음 조건을 검사한다. 만약 앞선 if 문이 참이라면 else if를 실행
하지 않는다.

if (condition1) {
} else if (condition 2) {
} else if (condition 3) {
} else {
}

switch문은 if문을 조금 더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이라고 한다. 다만 if에서는 condition에 여러 조건들을 작성할 수 있었던 것과는 다르게, switch의 경우에는 한 가지 변수에 대하여 그 값이 동일한지만 확인이 가능하다.

switch (조건식) {
    case value1:
    	// 조건식의 결과 값이 value1일 때 실행되는 코드
    	break;
    case value2:
    	// 조건식의 결과 값이 value2일 때 실행되는 코드
    	break;
    default:
    	// 조건식의 결과 값이 위의 어떤 값에도 해당하지 않을 때 실행되는 코드
}

여기서 break문을 사용하지 않으면,  바로 다음 case에 있는 코드가 실행된다.

또한 java 14부터는 새로운 switch문이 도입되었다. 그 형식은 다음과 같다.

package cond;

public class Switch3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grade 1:1000, 2:2000, 3:3000, 나머지: 500
		int grade = 2;
        
		int coupon = switch (grade) {
                    case 1 -> 1000;
                    case 2 -> 2000;
                    case 3 -> 3000;
                    default -> 500;
		};
		System.out.println("발급받은 쿠폰 " + coupon);
	}
}

삼항 연산자

삼항 연산자는 항이 세 개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 조건, 참_표현식, 거짓_표현식 이렇게 세 가지로 가지고 있으며 유일하게 항이 3개인 연산자이기에 이런 이름이 되었다고 한다.

형식은 다음과 같다.

(조건) ? 참_표현식 : 거짓_표현식

 

 

'기초 공부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입문(5) 스코프, 형변환  (0) 2024.01.12
java 입문(4) 반복문  (0) 2024.01.10
java 입문(2) 연산자  (0) 2024.01.07
java 입문(1) 변수  (1) 2024.01.07
java 입문(0)  (1) 2024.0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