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초 공부/C++

C++ 복습(1) 자료형의 기초

Visual Studio Code의

C++에 사용되는 "기초적인" 자료형에는 5가지가 있다.

 

Integer, Double, Single charater, boolean, String

비유가 완벽하지는 않지만, 각각 정수, 실수, 문자, 사실 여부, 문자열로 비유할 수 있다.

#include <iostream>

int main(){

    int x = 5; //declaration and assignment
    int y;
    y = 5;

    std::cout << x << '\n'; //출력값은 5
    
    return 0;
}
 

변수를 선언할 때에는 앞에 자료형와 함께 변수명을 선언해 줘야 한다.

위의 int x = 5와 같이 assignment, 값을 할당해 줄수도 있겠지만, int y와 같이 미리 선언한 후, y =5로 나중에 assignment를 해줄수도 있다.

#include <iostream>

int main(){
    //integer (whole number)
    int age = 21;
    int year = 2023;
    int days = 7.5; //7로 저장이 된다.

    std::cout << days << '\n';

    return 0;
}
 

Integer은 정수형, 즉 정수와 관련된 모든 자료형이 여기에 포함된다. 나이, 연도, 날짜 등이 여기에 해당된다고 보면 된다.

만약 int로 선언된 변수에 7.5와 같이 소수를 지정한다면, 자동으로 소수점 아래자리를 버림 한 다음, 7을 저장하게 된다.

#include <iostream>

int main(){
    //double (number including decimal)
    double price = 10.99;
    double gpa = 2.5;
    double temperature = 25.1;

    std::cout << price <<'\n';

    return 0;
}
 

Double은 실수형과 관련된 자료형이며, 소수점 아래의 수를 표현하는데 사용하는 자료형이다. 비슷한 유형으로 float가 있다.

#include <iostream>

int main(){
    // single character (single이기에 작은따음표)
    char grade = 'A';
    char inital = 'BC'; // C만 출력됨, 2개 이상 저장 불가능
    char currency = '$';

    std::cout << inital << '\n';

    return 0;
}
 

char은 문자 한개에 대응되는 자료형이다. 그렇기에 char에는 문자 한개만 보관이 가능하며, 'BC'와 같이 여러개가 입력되는 경우, 가장 마지막으로 할당한 문자인 C가 보관되게 된다.

#include <iostream>

int main(){
    //boolean (true or false)
    bool student = false;
    bool power = true;
    bool forSale = true;

    //String (object represents a  sequence of text)
    std::string name = "Bro";
    std::string day = "Friday";
    std::string food = "Pizza";
    std::string address = "123 Fake St.";

    std::cout << "Hello " << name <<'\n';
    std::cout << "You are " << age << " years old" <<'\n';
    
    return 0;
}
 

boolean은 true와 false 값을 지정할 수 있는 자료형이다.

 

string은 문자열을 지정하는 자료형이며, 다른 자료형들과는 다르게 std::string을 통하여 변수를 선언해줘야 한다.

 

추가적으로 std::cout << "Hello " << name 을 실행하면 Hello Bro가 출력되며, <<라는 형식으로 변수들을 서로 이어줄 수 있다. 다만 띄어쓰기를 생각해줘야 한다.